미국 내 비트코인 ETF 승인,각종 굴지의 기업들의 투자 등으로 인해 암호화폐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진 가운데 하나의 의문이 생길 것입니다.
실물이 없는 암호화폐 특성상 해킹에 대한 위험도가 높은 거 아닌가,어떻게 하면 나의 암호화폐 자산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을까?
이러한 의문들을 해결해 줄 수 있는 것이 바로 '암호화폐 지갑(Cryptocurrency Wallet)'입니다.
암호화폐 지갑이란?
일상에서 흔히들 '지갑'이라 함은 신용카드,신분증 등을 넣고 휴대하는 물건이다.IT가 발전한 지금 신분증 그리고 신용카드 마저도 애플페이,삼성페이같은 휴대폰에 신용카드를 넣고다니기에 지갑을 들고 다니는 사람들은 크게 줄어들고 있습니다.
암호화폐 지갑은 용어 그대로 블록체인에서 사용되는 암호화폐를 보관하게 위해 만들어졌고 사용되고 있습니다.
금융자산과 관련된 모든 것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것이 안정성인데,이 암호화폐 지갑은 암호화폐의 전송뿐만 아니라 특히 보관에 대해서 안정성을 보장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암호화폐 지갑 안에는 진짜 암호화폐가 있을까?
정답은 없다입니다.암호화폐 지갑은 블록체인 분산 원장에 기록되는 거래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하고 서명하는 일에 사용되는 비공개 키를 보관하는 저장소 정도로 보면 됩니다.
그럼 암호화폐는 어디에 보관되어 있는 걸까?
이용자 모두가 이용하고 공유하는 '블록체인' 안에 저장되어 있습니다.자신의 코인이 이더리움이라면 자신 고유의 키와 연결된 계좌의 보유 개수 등 모두 '블록체인'안에 저장 및 보관되어 있습니다.
암호화폐 지갑이란 바로 자신 고유의 키를 관리하는 저장소 정도라 생각하면 됩니다.
블록체인 기술의 특성상 고유키를 잃어버리면 자신의 암호화폐는 사라지진않지만 자신의 암호화폐에 대한 소유권을 증명할 수 없게 된다.사실상 자연소각(증발)된거라 보면됩니다.
그렇기에 암호화폐 자산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키 관리입니다.
암호화폐 지갑의 장점
많은 이용자들이 암호화폐 지갑을 만들고 사용하려는 가장 큰 이유는 편의성.
만약 서로 다른 국가 간의 일반적인 기축통화를 이용해 금융 서비스를 사용할 때는 국가 간 시스템의 차이 및 환율 등으로 인해 꾀나 많은 문제점이나 절차상의 복잡함이 있으며,해외 송금 시에는 10단계가 넘는 절차와 인증 과정을 지나야만 송금이 가능하며 송금을 하고 나더라도 돈을 찾기 위해서는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그러나 암호화폐는 국가의 제한 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은행 또는 기관 없이 쉽고 빠르게 전송 할 수 있으며 수령 후 바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돈을 찾기 위한 시간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암호화폐 지갑의 단점
앞서 언급했다싶이 이러한 암호화폐 지갑은 사용자가 사용하고 전송하기 쉽게 하고 있지만,그에 수반되는 단점도 존재합니다.
흔히들 블록체인은 탈 중앙화 시스템을 기반으로 두고 있기에 중앙화 시스템에 비해 외부에서 악의적인 사용자가 해킹을 한다 해도 굉장히 어렵기 때문에 보안성이 강한 장점이 있는데,블록체인의 높은 보안성이 지갑에도 적용된다고 하면 반은 맞고 반은 틀립니다.
네트워크 상으로 연결되는 모든 지갑은 사용자가 간편하고 쉽게 사용 가능하며 실시간으로 거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블록체인의 높은 보안성을 뚫고 해킹하는 것 보다 단순 암호화폐 지갑의 암호(비공개키)를 해킹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효율적이기 때문에 지갑 해킹 문제가 간혹 벌어지고 있는 것이 현 실상입니다.
뿐만 아니라 암호화폐 지갑의 종류에 따라 비트코인 기반과 이더리움 기반 등 기반으로하는 네트워크에 따라 차이가 있기때문에 이 점 유의하셔서 지갑 선택을 하시길 바랍니다.
공식 홈페이지 - laplata.me
라플라타의 Dapp 프로젝트 엘실버 홈페이지 - elsilver.net
이젠 벌기 위해 게임을 한다.쉽게 이해하는 P2E 메타, 그리고 라플라타 코인 (0) | 2021.11.03 |
---|---|
바이낸스 런치패드 P2E 코인 DAR 분석(달라니아,라플라타) (1) | 2021.11.02 |
비트코인 해시레이트 분석 - 게임코인(P2E) 경제모델과 엘실버의 LPLT Rate (0) | 2021.11.01 |
비트코인 탭루트 업그레이드가 임박했습니다. (1) | 2021.10.30 |
메타 마스크 완벽 사용법 - 입문편 (0) | 2021.10.26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