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새벽동안 엄청난 고래싸움이 있었네요.
이 글 보시는 투자자분들은 고래싸움에 새우등 터졌지않기를 바라며,
포스팅 시작하겠습니다.
주요 코인 뉴스
코인베이스, 틱톡 제치고 미국 애플 앱스토어 인기앱 1위
미국 애플 앱스토어에서 코인베이스가 틱톡을 제치고 가장 인기 있는 앱이 됐다고 유투데이가 전했다. 코인베이스가 애플 앱스토어에서 가장 인기 있는 앱이 된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도지코인 열풍이 한창이던 지난 5월 초에도 인기앱 1위에 올라선 바 있다. 다만 미디어는 "올해 5월 19일 하락장 직전, 암호화폐 거품이 막 터지려던 2017년 말에도 코인베이스가 최고 인기앱에 올랐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https://kr.coinness.com/news/1014320
[일론 머스크 "단기적으로 인플레 압력 크다"]
유튜데이에 따르면 잭 도시 트위터 CEO와 캐시우드 아크 인베스트먼트 CEO,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트위터를 통해 미국 인플레이션에 대해 언급했다. 먼저 23일 잭 도시가 "하이퍼인플레이션이 모든 것을 바꿀 것이다. 이미 일어나고 있다"고 트윗하자 25일 캐시 우드는 "2008~2009년 미 연준이 양적완화를 시작했을 때 나는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거라 추측했다. 그런데 내가 틀렸다. 연간 화폐 회전율(속도)이 감소해 인플레 부작용을 완화했다. 이 같은 속도는 여전히 줄어들고 있다"고 답했다. 이에 일론 머스크는 26일 "장기적으로는 모르겠지만 단기적으로 봤을 때 우리는 강한 인플레이션 압력을 지켜보고 있다"고 답했다.
https://coinness.live/news/1013920
[비탈릭 부테린 "레이어 2, 이더리움 확장성의 미래"]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 공동 창업자가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제7회 블록체인 글로벌 서밋의 기조연설에서 "레이어 2는 이더리움 확장성의 미래"라며 "이더리움 가상머신(EVM)과 호환되는 롤업(Rollup)은 탈중앙화를 유지하면서도 사용자 및 개발자 경험과 확장성을 개선할 수 있다"고 말했다.
https://kr.coinness.com/news/1013884
[리서치 "2021년, 알트코인이 기관 투자자 관심 이끌어냈다"]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암호화폐 거래소 오케이코인이 26일 보고서를 통해 "2021년 알트코인이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기관 투자자들의 관심을 이끌어냈다"고 진단했다. 이와 관련 오케이코인은 "지난해 9월부터 올해 9월까지 오케이코인 내 기관 고객 수는 450% 증가했으며, 기관 투자자발 거래량도 124% 증가했다. 지난 9월 기관투자자들이 매입한 암호화폐 물량의 53%는 알트코인이었다. 이는 이더리움, 라이트코인 등 최소 출시된지 4년이 넘어가는 '우량' 알트코인들을 선호했던 이전의 기관 투자자들의 움직임과 대비된다"고 설명했다.
https://coinness.live/news/1013906
[LG전자, 블록체인 기술 개발 착수]
전자신문에 따르면 LG전자가 블록체인 기술 개발 인력을 채용하면서 기술 개발에 나선다. 가전과 전장, 헬스케어 등 자사 핵심 사업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서다. LG전자는 최근 채용 홈페이지에 최고기술책임자(CTO) 부문에 블록체인 소프트웨어(SW) 개발자와 서비스 사용자경험(UX), 시나리오 개발자를 모집한다고 공고했다. LG전자가 블록체인 기술 전문가를 채용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애플리케이션(doq), 웹, 서버 SW, 서비스 사용자인터페이스(UI) 디자인, 시나리오 개발 경험이 있는 인력을 모두 뽑을 계획이다. 앞서 LG전자는 지난해 가전업체 최초로 글로벌 분산원장 플랫폼인 '헤데라 해시그래프' 운영위원회에 참여했다. 당시 LG전자는 가전과 블록체인을 연계한 서비스를 선보이겠다고 설명했다.
https://kr.coinness.com/news/1014292
BTC 기술적 분석
10월28일 09:55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보다 7 포인트 떨어진 66 포인트를 기록했다. 투심이 위축됐으나 탐욕 단계는 지속됐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공포 탐욕 지수는 변동성(25%), 거래량(25%), SNS 언급량(15%), 설문조사(15%), 비트코인 시총 비중(10%), 구글 검색량(10%) 등을 기준으로 산출된다.
=>투심은 많이 죽은 상태.
온체인데이터 분석
후오비 글로벌 BTC·ETH 선물 포지션, 지난해 최저 수준까지 감소
크립토퀀트 데이터에 따르면 후오비 글로벌의 BTC·ETH 선물 포지션이 모두 급감해 지난해 최저 수준에 근접하고 있다. 중국 당국의 규제로 인해 중국 본토 사용자에게 해당 서비스 제공을 중단한 영향으로 해석된다. 앞서 6월 후오비 글로벌은 중국 본토 이용자 대상 계약 서비스를 중단한다고 공지한 바 있다.
[외신 "CME 활동 레버리지 펀드, 비트코인 투자 규모 역대 최대"]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가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서 활동하는 레버리지 펀드들이 비트코인 투자 규모를 확대하며 이들이 보유한 포지션 규모가 19일(현지시간) 역대 최고 수치를 경신했다. 이에 따라 BTC 선물과 현물의 가격 격차가 확대되면서 차익실현 물량이 나올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됐다"고 26일 보도했다. 지난 19일 CFTC가 발표한 COT 보고서에 따르면, CME 활동 레버리지펀드는 지난주 약 31,000 건의 순 공매도 포지션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주 대비 약 6,000 계약이 증가한 수치다. 이와 관련 미디어는 "레버리지 펀드의 숏 포지션 규모 확대는 반드시 트레이더들의 약세 편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선물 시장에서 숏 포지션을 잡고, 동시에 현물시장에서는 BTC를 매수하며 이른바 '캐리 트레이드'(금리가 낮은 통화로 자금을 조달해 금리가 높은 나라의 금융상품 등에 투자함으로써 수익을 내는 거래)를 진행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분석했다.
⇒CME 는 인증 받은 기관만 거래가 가능한 곳인데,CME 볼륨이 갈 수록 커진다는 것은 신규 기관이 계속 유입되고 있다는 것.
지난 하락장 기관들이 서서히 눈치만 보다가 ETF 승인이 도화선에 불은 지핀 듯
크립토퀀트 "BTC·ETH 레버리지 비율, 여전히 최고 수준 근접"
크립토퀀트가 트위터를 통해 "BTC·ETH 레버리지 비율과 미결제약정 모두 여전히 최고 수준에 근접하다"며 "과거에는 이러한 레버리지 비율로 인해 BTC·ETH가 20% 넘게 조정을 겪었다"고 전했다.
⇒CME 볼륨이 커짐에 따라 대형 고래 몇명에게 시장이 크게 흔들리는 혹은 시장의 가격이 웨더독 현상(선물 시장이 현물 시장을 좌지우지)하는 현상은 벌어지지 않지만
과도한 CME 선물 + 레버리지 비율 + 미체결 약정이 높아지는 결과가 낳게됨.
허나 긍정적으로 볼 것은 최근 상승은 선물에 의한 상승이 아닌 철저한 현물 매수였다는 점
이더리움 관련 센티내용입니다.8시경 거래소로 3만개정도가 입금이 되었네요.그리고 1시경에는 수익실현이 좀 크게 있었네요.
⇒수익실현 = 매도 (하락)
CVD
CVD는 바이낸스 거래소 고래들의 매수 매도 및 오더북을 한눈에 볼 수 있게 가공한 지표
⇒최근 큰 손 고래가 좀 털어내면서 가격이 하락한 모습.
211101 돈이 되는 소식,비트코인 시황 분석 (0) | 2021.11.01 |
---|---|
211031 돈이 되는 소식,비트코인 시황 분석 (0) | 2021.10.31 |
211030 돈이 되는 소식,비트코인 시황 분석 (0) | 2021.10.30 |
211029 돈이 되는 소식,비트코인 시황 분석 (0) | 2021.10.29 |
211027 돈이 되는 소식,비트코인 시황 분석 (0) | 2021.10.28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