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11102 돈이 되는 소식,비트코인 시황 분석

암호화폐/비트코인 시황

by 라플라타 2021. 11. 2. 16:07

본문

안녕하세요.

60k를 강하게 지켜주는 모습을 보이며 현물 주도의 큰 반등으로 이어갔으나,급격하게 높아지는 펀딩비로 인해서

한번 식히는 단계에 접어들었습니다.

 

주요 코인 뉴스

바이비트 “메타버스 토큰 가격 급등세"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비트(Bybit)가 "지난 금요일 대규모 비트코인 옵션이 만료된 후, 비트코인 가격이 3일 연속 상승세를 유지했다. 이에 더해 지난 며칠 동안 단기 이더리움 옵션이 대량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최근 강세 소식이 전해지면서 많은 알트코인이 포물선 상승을 보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메타(Meta)가 메타버스 시장 진출을 공식 발표한 뒤, 이더리움 기반의 메타버스 게임 디센트럴랜드(Decentraland)에서 사용하는 토큰 마나(MANA)가 150% 이상 급등했다. 다른 메타버스 토큰도 비슷한 상승을 보였으며, 상위 메타버스 토큰 가격을 따라 토큰화된 인덱스 펀드인 메타버스 인덱스(Metaverse Index) 토큰은 하룻밤 사이에 20% 상승했다"고 덧붙였다.

https://coinness.live/news/1014912

 

전날 이더리움 네트워크 해시레이트 역대 최고

이더리움 블록체인 익스플로러 이더스캔에 따르면, 1일 이더리움 네트워크 전체 해시레이트가 812.76 TH/s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 수치를 경신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ETH는 현재 2.72% 오른 4,351.2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https://coinness.live/news/1014904

 

=>해시레이트 상승 → 연산량 증가 → 채굴량 증가 → 채굴 난이도 상승 → 희소성 증가로 인한 가격 상승

 

민주당 "가상자산 과셰 유예 검토...개념 정립도 부족한 상태"

한국경제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이 내년으로 예정된 정부의 가상자산(암호화폐) 과세를 1년 유예하는 안을 추진한다. 정부는 내년 1월부터 암호화폐 양도차익으로 번 소득을 '기타소득'으로 분류해 250만원을 공제하고 그 이상의 수익에는 20%의 세율을 적용할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민주당 박완주 정책위의장은 2일 국회 기자간담회에서 "(과세를) 연기하는 방향으로 당에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 의장은 "정부는 현재까지 원안을 사수하겠다는 입장인데, 조만간 당정 또는 상임위 차원에서 주 추진 방향을 밝히고 논의를 시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https://coinness.live/news/1014903

 

퀀텀 "다음주 말 신규 로고 관련 비디오 공개"

퀀텀이 테스트넷 2개와 월렛 38개를 릴리즈하고 여러 개발 로드맵과 마케팅 캠페인을 거친 후에 QTUM 로고가 바뀌게될 것이라고 전했다. 다음주 말에 새로운 로고와 관련한 비디오가 공개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날 코인니스는 퀀텀이 연내 리브랜딩을 진행하고 새로운 개발 로드맵을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고 전한 바 있다.

https://coinness.live/news/1014878

 

기술적 분석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73... 탐욕 단계 지속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보다 1 포인트 내린 73 포인트를 기록했다. 전날에 이어 탐욕 단계가 지속됐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공포 탐욕 지수는 변동성(25%), 거래량(25%), SNS 언급량(15%), 설문조사(15%), 비트코인 시총 비중(10%), 구글 검색량(10%) 등을 기준으로 산출된다.

 

=>여전히 매수 강세

 

미 재무부, 스테이블코인 보고서 발표... 은행과 동일한 규제 적용 요구

CNBC에 따르면 미국 재무부가 1일(현지시간) 스테이블코인이 금융 시스템에 미치는 위험 및 기회를 다룬 보고서를 발표, 의회가 스테이블코인 발행자를 은행과 같이 규제하는 새로운 법률을 제정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재무부가 주도하는 대통령 금융시장 실무그룹(PWG)은 보고서를 통해 "스테이블코인 관련 리스크 해결을 위해 스테이블코인 발행사가 금융기관(depository institution) 및 지주회사(holding company) 차원으로 적절한 감독 및 규제를 받는 기관 보험에 가입하도록 해야 한다"며 "의회는 투자자, 발행자, 거래소를 보호하고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가능한 빨리 관련 법안을 제정하고 공식적인 시장 구조를 도입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어 "스테이블코인은 휴대전화부터 미용 서비스까지 미국인의 모든 결제 방식을 바꿀 수 있다. 더 빠르고 효율적이며 포괄적인 결제 옵션을 지원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이를 위해서 스테이블코인은 규제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고서 관련 언론 브리핑에서 PWG 임원들은 "스테이블코인은 복잡하고 다면적인 리스크가 존재하는 상품"이라며 "관련 규제가 필요하다. 암호화폐에 대한 법률 제정은 너무 더디게 진행돼 왔다"고 설명했다.

https://coinness.live/news/1014856

 

=>제도권으로 들어오기 시작한 암호화폐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이라 볼 수 있을듯

 

크립토퀀트 "2~5년 BTC 보유자, 일부 차익실현... 우려 불필요"

크립토퀀트가 트위터를 통해 "2~3년, 3~5년 BTC 보유자가 일부 수익 실현을 했지만 현재로선 크게 우려할 사항이 아니다"라고 전했다.

https://coinness.live/news/1014883

 

=>차익 실현하였지만 시장은 다 받아먹었다 -> 건강한 시장상태 : 긍정적

 

 

크립토 시장 유입 자금

 

최근 급격하게 자금이 흘러들어왔는데,그에 반면 한국은?

 

아직 김치파워는 나오지 않았다.

 

 

테슬라 비트코인 결제 재개?

비트코인 결제 버튼이 invisible처리가 되어있는데,이게 단순하게 직전에 도입했을때 안보이게 한건지 재도입을 위한 밑작업을 해둔건지 알 순 없음.

 

펀딩비

 

위에서 언급드렸던 것 처럼 60k를 지키며 강하게 나온 반등분에서 펀딩비가 급격하게 올라갔음.

LONG에 많은 개미들이 올라탔단 소린데,그만큼 개미를 털 수 있는 리스키한 자리라는 걸 반증하는 지표가 되는 것이  펀딩비.

 

근데 참고로 올해 초 불장에 0.15까지 간 적도 있음 .. ㅎ

불장의 서막에선 그저 무의미해지지않을까 싶음.

 

이래도 거품이라고?

과연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